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내년부터 '전자발찌' 스토커 접근하면 피해자에 자동 경보

관제센터 안 거치고 직접 파악…모바일앱 개발해 보호장치 없어도 서비스
법무부, 전자감독 피해자 보호시스템 강화안…"피해자 중심정책 신속추진"

김태호 기자 | 기사입력 2023/11/20 [11:41]

내년부터 '전자발찌' 스토커 접근하면 피해자에 자동 경보

관제센터 안 거치고 직접 파악…모바일앱 개발해 보호장치 없어도 서비스
법무부, 전자감독 피해자 보호시스템 강화안…"피해자 중심정책 신속추진"

김태호 기자 | 입력 : 2023/11/20 [11:41]

▲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1월 17일 대구 수성구 스마일센터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시사일보=김태호 기자] 스토킹 범죄자에게 위치추적용 전자장치(전자발찌)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개정 스토킹처벌법 시행에 맞춰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됐다.

 

법무부는 내년 112일 시행되는 개정법에 따라 강화된 '전자감독 피해자 보호 시스템'을 적용해 스토킹 행위자의 피해자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겠다고 20일 밝혔다.

 

법무부에 따르면 개선안은 먼저 스토킹 가해자가 피해자의 일정 거리 안으로 접근할 경우 피해자에게 휴대전화 문자로 가해자의 위치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스토커 위치정보 피해자 알림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위치추적 관제센터를 거쳐야만 알 수 있던 가해자의 접근 사실을 피해자가 직접, 더욱 빠르게 알 수 있게 된다.

 

담당 기관이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보호장치(손목 착용식 스마트워치)의 휴대성도 대폭 향상된다.

 

법무부는 피해자가 보호장치를 지니고 있지 않더라도 보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피해자 보호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2024년 하반기까지 개발할 방침이다.

 

앱이 개발되면 보호장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보호관찰관이 가해자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 보호장치를 갖고 다녀야 했던 피해자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법무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을 내년 상반기까지 성폭력 전자감독 대상자와 피해자에게도 적용해 피해자 보호를 강화할 방침이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이번에 개발한 피해자 알림 시스템, 피해자 보호장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피해자들이 좀 더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법무부는 앞으로도 피해자 중심의 정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pdf지면보기
중요기사
메인사진
'尹의 사람들' 속속 링으로…개각 초읽기에 與 총선구도 촉각
[시사일보=양정호 대기자] 이르면 다음 주 단행될 개각과 맞물려 여권 내부에서 대통령...
메인사진
"마지막까지 혼신 다했는데"…오일머니 장벽 못 넘은 부산
[시사일보=서동식 기자] 우리나라 부산이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에서 막판까지 사우디...
메인사진
이재명 "이상적 주장하다 총선 질 수도"…'병립형'에 힘싣나
[시사일보=길대성 기자] 내년 국회의원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 개편안을 두고 더불어민...
메인사진
삼성전자, 39세 상무·46세 부사장 나왔다…"세대교체 가속화"
[시사일보=최한규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작년에 이어 올해 임원 인사에서도 30대 상무...
메인사진
이틀 뒤 예산안 심사 시작인데…여전히 TBS 내년 예산 '0'
[시사일보=김태호 기자] 서울시 산하 미디어재단인 교통방송(TBS)에 대한 시의 지원이 결...
메인사진
초등학교 영어수업에 '로봇 교사' 투입된다…학생과 1대 1 회화
[시사일보=서동식 기자] 영어 공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시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
메인사진
"10개월 아기가 하마스의 적?"…최연소 인질 석방 요구 봇물
[시사일보=국제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납치돼 억류 중인 이스라엘 10개월 아...
메인사진
수억 세금 체납하고 호화생활 유튜버…친척 계좌에 재산 은닉
[시사일보=최한규 기자] A씨는 구글로부터 광고 수익 등으로 매달 수천만 원을 벌어들이...